김검사의 하루

2017년 8월 30일 작성

 

이 글은 개인적으로 너무 많은 공을 들여 쓴 글로 개인적으로는 모든 사람에게 알리고 싶을 뿐이다. 다만 누가 사스카추완 Border 에 관심이 있냐는 것이 문제일 뿐이다.

 

정작 회사에 출근한 이야기를 써야하지만 요즘 글을 잘 안 쓰고 있는 관계로 예전에 썼던, Saskatchewan 소개글을 먼저 올린다. 최근에 다시 읽어보니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어서 나도 몇 번을 읽어봐야 했던 것으로 보아 관심없는 사람들에게는 그야말로 Gobbledygook 일 것 같다. 그래도 당시에는 엄청난 시간을 투자해서 쓴 글이니 여기도 한 번 올려본다.


도대체 누가 관심이 있겠냐만은, 사실 사스카추완은 사각형이 아니다. 물론 위도가 높아질 수록 경도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기 때문에(이런 것도 전문 용어가 있을 것 같지만 지리를 배운지가 너무 오래되어서 전혀 생각이 나지 않는다) 사각형이 아니라 마름모꼴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또 그렇지도 않다.

 

사스카추완의 주 경계는 아래 그림과 같이 알버타와의 경계는 직선인데 반하여 매니토바와의 경계는 삐뚤빼뚤한 모습을 하고 있다.

 

사스카추완 지도. 오른쪽 아래 경계를 보면 삐뚤빼뚤하다.

 

어느 날 일기예보를 보다가 사스카추완의 지도가 나오는데 오른쪽 아래의 경계를 보니 직선이 아니라 마치 화면이 고장이라도 난 것처럼 아주 삐뚤빼뚤한 것이었다. 한 번 이러한 사실을 발견하고 나니 정말로 왜 저런지 참으로 궁금해졌다. 그리하여 이리저리 자료를 찾아 보다가 대략적으로 그 이유를 발견하긴 했는데, 그것을 설명하기가 참으로 복잡하다.

 

 

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 Township과 Range System에 대하여 알아야 한다. 간단하게 설명하면, 19세기 Western Canada를 측량할 때 효율적으로 땅을 관리하기 위하여 기준점이라고 할 수 있는 Meridian을 설정하고 그 선에서부터 6 mile * 6 mile 크기의 사각형으로 땅을 구분하게 되었다 (이를 Grid 라고 함).

 

이때, 미국과의 경계인 위도 49도부터 6 mile 씩 북으로 가며 Township 번호가 하나씩 증가하며, 각 Meridian을 기준으로 6 mile 씩 서쪽으로 갈수록 Range 번호가 증가하게 된다 (맨 아래 그림 참조). 아무튼 그런식으로 땅을 구분하면 아래와 같이 무수히 많은 작은 사각형들이 생기게 되는데, 그 사각형을 또다시 1 mile * 1 mile로 36등분을 하고 그것을 다시 한번 0.25 mile * 0.25 mile로 16 등분하여 대략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.

 

그리하여 알버타나 사스카추완의 경우 도시만 벗어났다 하면 Township Road / Range Road 이런 식으로 적힌 길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.

 

 

참고 : 위 그림에서 가장 오른쪽 아래 위치는 01-01-01-30W1 로 나타낼 수 있다 그 의미를 풀어 쓰면 다음과 같다 16등분 중 1번 - 36등분 중 1번 - Township 1 - Range 30 - 1st Meridian의 West)

 

 

실제로 이 방법은 알버타나 사스카추완과 같이 사방이 뻥 뚫려있는 곳에서 위치를 나타내기에 아주 좋은 방법이다. 산이나 언덕과 같이 기준을 삼을 수 있는 점이 전혀 없는 곳에서 지도만으로 정확한 위치를 찾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무척이나 어려운 일일 것이다. 나의 경우 업무 특성상 검사를 위하여 자주 밭 한가운데에 설치된 Oil Well을 찾아가야 하는데, 그럴 때 이 주소를 이용하여 그곳을 찾아가게 된다 (사실 요즘은 네비가 좋아서 Grid Map을 나타내는 카드만 사면 다 안내해 준다).

 

나도 최근에 알게 된 내용을 글로 쓰려니 잘 요약이 안되고 있는데, 아무튼 다시 원래 이야기- SK주와 MB주의 Border 이야기-로 돌아가 보자.

 

 

 

 

 

1905년 알버타주와 사스카추완주가 North West Territories에서 분리되게 되는데, 이때 2개의 주가 동시에 분리가 되었기 때문에 알버타와 사스카추완은 손쉽게 4th Meridian을 기준으로 Border를 결정할 수 있었다.

 

(참고 : 매 Meridian은 기준점 또는 Correction Line이기 때문에 Range가 1번부터 새로 되며,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Offset이 적용되지 않는다. 그래서 AB-SK Border는 직선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.)

 

하지만 동쪽의 매니토바와의 경계는 그렇게 간단하게 결정할 수 없었는데, 매니토바는 이미 1870년에 주로 승격되었고, 1882년 North West Territories와 경계 설정 시 1st Meridian의 29 Range와 30 Range의 경계를 Border로 설정하였기 때문이다.

 

그런데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위도가 높아질 수록 같은 경도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된다. 이때, 만약 Grid 하나의 크기를 계속 6 mile * 6 mile로 유지하고자 한다면 위도가 높아질 수록 Offset이 발생하게 되며,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아래와 같이 중간 중간 Correction Line을 통하여 보정을 하게 된다 (아래 그림 참조).

 

 

 

 

 

그 과정에서 Correction Line에서는 약간씩 어긋난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(매 24 mile 북으로 올라갈 때마다 225 feet 씩 서쪽으로 밀린다고 함). 이러한 이유로 사스카추완주와 매니토바주 경계는 이렇게 삐뚤빼뚤하게 된 것이다. 즉, 앞서 이야기한대로 사스카추완과 매니토바의 경계는 29 Range 와 30 Range 로 설정되었고 아래와 같이 중간중간 Correction Line이 위치하면서 이렇게 삐뚤빼뚤한 모양이 된 것이다.




다만, 본문 중 3번째 지도를 보면 북위 56도 정도 지점부터는 사스카추완과 매니토바의 경계가 2nd Meridian을 따라 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. 사실 이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찾지는 못하였지만 관련 자료와 지도를 종합하여 볼 때, 두 주의 경계가 1st Meridian 의 29 Range 와 30 Range 인데, 위의 지도에서 보이듯이 어느 순간부터 29 Range 가 2nd Meridan 과 겹쳐지기 때문에 그 위쪽의 경계는 자연스럽게 2nd Meridian 을 따라가는 것 같다.

반응형

공유하기

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